3D프린팅을 위해선 3D모델 파일이 필히 준비되어야 합니다. 3D모델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3D모델링(입체설계)을 먼저 진행하게됩니다.
3D모델링에 필요한 평면도면(DXF, DWG 파일 또는 PDF 등) 이나 스케치 등이 있다면 3D모델링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성품을 모방 및 보완설계하기 위해 기성품 사진이나 실물 등의 자료가 준비된다면 더욱 좋습니다.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접수하실 때, 준비되는 자료의 유형별로 안내해드립니다. 자료가 다소 부족하시다면, 프르프에 상담을 요청해주세요.
기획단계에서는 아이디어만 있는 경우가 많죠. 프르프에서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3D모델링에 필요한 스케치만으로도 3D프린팅을 위한 파일을 완성해드립니다.
아래 예시를 참고해 스케치와 자료를 준비해보세요. 생각보다 쉽습니다!
3D모델링에 필요한 스케치 – 부품 구성의 예_

3D모델링에 필요한 스케치 – 투시와 치수표기의 예_

- 치수나 부위 설명을 위한 글자는 최대한 잘 보이는 크기로 기입해 주십시오.
- 투시 적용이 힘들면 정확히 표현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설명하고자 하는 위치와 치수만 정확히 표시하시면 충분합니다.
- 스케치는 그림만으로는 전달력이 불완전한 만큼 상세 코멘트를 필히 작성해주셔야합니다. – 제작 목적, 크기, 수량, 표면, 색상, 광택 등그림과 연관된 정보가 아니면 꼭 수기하지 않고, 온라인 접수 양식에 입력해도 무방합니다.
3D모델링에 필요한 설명문의 예_
‘팔, 다리가 달린 의인화된 아트 토이를 제작하고자합니다. 그림과 같이 몸, 다리, 팔, 머리, 주둥이, 귀를 분리해 제작해 최종단계에서 접착할 계획입니다.동물을 두 발로 서 있게 의인화한 형태이고요. 곰, 독수리, 늑대 세 가지 동물로 제작하려고해요. 주둥이와 귀로만 종류를 구분하려고합니다.피규어의 크기는 모두 조립했을 때 13센치 정도로 생각하고 있어요. 각각의 파트는 접착제로 붙일지 고무줄로 연결하지 아직 결정을 못 했는데 작업을 진행하면서 결정해도 괜찮을지요? 출력물 종류가 뭐가 적합할지 모르겠는데 추천할만한 소재가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모델링, 프린팅, 후가공 모두 필요한 작업입니다. 일단 모델링만 먼저 진행해 보고 나중에 견적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스케치를 그리신 후, 기성품 자료는 스마트폰이나 카메라 등의 촬영본이나 스캔본을 첨부해주세요. 여러 파일은 ZIP 파일로 압축하여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