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사전

갱신일: 5월 5, 2025

목차

  • 3D: 쓰리디, 3차원, Three Dimension의 약자. 입체적 사물 및 공간을 일컫음. – 따라서 2D는 평면의 개념.
  • 3축: 쓰리액시스, 3축, X(가로축), Y(세로축), Z(높이축) 등을 모두 일컫음.
  • 3D프린트: 적층조형(적층성형) – Additive Manufacturing(Fabricating) 을 대중적으로 쉽게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용어.
  • 3D모델: 컴퓨터 그래픽 및 CAD 소프트웨어에서 입체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삼차원 좌표계 상의 점·선·면 등의 기하학 정보로 구성된 디지털 데이터로, STL·OBJ·3MF 등 다양한 파일 포맷으로 저장되어 3D 프린팅, 시뮬레이션, 렌더링 등에 활용.
  • 3D모델링: 입체설계 / 입체도면화 작업
  • 3D모델: 3D 프린팅이나 CAD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삼차원 형상 데이터. 면(폴리곤) 또는 곡면(NURBS)으로 구성되어 입체 구조를 표현함.
  • STL: StereoLithography의 약자. 3D 모델의 표면을 삼각형 메쉬 형태로 저장하는 가장 보편적인 파일 포맷. 텍스처나 색상 정보는 포함되지 않음.
  • STP: STEP(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의 확장자. ISO 표준 CAD 파일 포맷으로, 기하학 정보뿐만 아니라 어셈블리 구조와 재료 속성까지 교환 가능.
  • OBJ: Wavefront OBJ 파일 형식. 정점(vertices), 텍스처 좌표(UV), 법선(normal) 및 폴리곤(face) 정보를 텍스트로 저장하며, MTL 파일을 통해 재질(Material) 정보 연동 가능.
  • 3MF: 3D Manufacturing Format의 약자. 메쉬뿐 아니라 색상, 재질, 빌드 설정, 어셈블리 트리 등을 한 파일에 모두 담을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 주도로 개발된 3D 프린팅 전용 포맷.
  • 분할조형: 빌드 볼륨이 큰 모델을 출력 한계에 맞춰 여러 파트로 나누어 (“분할”) 각각 출력한 뒤 후가공 시 접합·조립하는 방식.
  • 견적: 3D 프린팅 서비스에서 모델 부피·재료·출력 시간·후처리·인건비 등을 종합해 산출한 가격 제안서.
  • 열가소성: 가열 시 연화되어 성형이 가능하고, 냉각 시 다시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군. 대표적으로 PLA, ABS, PETG 등이 있음.
  • 광경화성: 자외선(UV) 또는 특정 파장의 빛을 쬐면 액체 수지가 화학 반응을 통해 고체로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재료. SLA, DLP, MSLA 프린터용으로 주로 사용됨.
  • 표면조도: 3D 출력물의 표면 거칠기 정도를 수치화한 값. Ra(Roughness Average), Rz(Mean Peak-to-Valley Height) 등으로 표시하며, 값이 낮을수록 매끄러운 표면.
  • DfAM: 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의 약자. 적층 제조 공정에 최적화된 설계 원칙을 의미하며, 토폴로지 최적화, 내부 격자 구조, 지지대 최소화 등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