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체(서포트) 개념

갱신일: 5월 5, 2025

목차

적층조형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물의 단면 층을 한 층씩 쌓아가며 형상을 만드는 가공법입니다.

그래서 쌓기 시작하는 첫 층을 바닥으로 보았을 때 공중에 떠 있는 윗 층은 아래에서 받쳐주는 부분이 없다면 적층(조형)이 어렵습니다. (분말 재료를 사용한 일부 방식에서는 가능)

여러분이 준비한 형상 중에서 공중에 떠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를 오버행(Overhang) 이라고 하며, 이 부위에는 지지체(Support)를 함께 가공하여 가공이 완료 된 후에 제거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지체의 예_

프르프 용융압출 방식 3D프린팅 지지체(서포트)

용융압출 방식에서의 지지체

프르프 PLA 글로시 젯 블랙 플라스틱 - 에일리언

지지체를 제거하고 멀끔하게 조립된 용융압출 방식 가공 결과물 – PLA 글로시 _젯 블랙 플라스틱

프르프 광경화 방식 3D프린팅 지지체(서포트)

광경화 방식에서의 지지체

프르프 아크릴 UV 레진 플라스틱 - 에일리언

지지체를 제거하고 멀끔하게 조립된 광경화 방식 가공 결과물 – 아크릴릭 레진 스탠다드 화이트 플라스틱

지지체 자욱은 남게 되어 있으며 평탄한 면보다 곡면부위에서는 이러한 자욱이 더욱 도드라 집니다.

표면연마를 진행하실 계획인 경우, 지지체 자욱은 모두 제거될 것 입니다.

 

형상검토용이라면 전체적인 크기, 부피 등의 실물감을 확인 하는 것에는 문제 없습니다.

최종 상품을 기획하고 계시다면, 오버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를 진행하시면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프르프 가이드북에서 각 소재별로 적합한 오버행 한계각도를 확인하시어 적합한 디자인을 도출해가시면 수월하실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