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을 위해선 3D모델 파일이 필히 준비되어야 합니다. 3D모델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3D모델링(입체설계)을 먼저 진행하게됩니다.
3D모델링에 필요한 평면도면(DXF, DWG 파일 또는 PDF 등) 이나 스케치 등이 있다면 3D모델링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성품을 모방 및 보완설계하기 위해 기성품 사진이나 실물 등의 자료가 준비된다면 더욱 좋습니다.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접수하실 때, 준비되는 자료의 유형별로 안내해드립니다. 자료가 다소 부족하시다면, 프르프에 상담을 요청해주세요.
흔히 캐드라고 일컬어 왔던 평면도면이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제품의 치수와 설계특징 등 명확한 정보가 담긴 자료이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3D모델링이 가능합니다.
3D모델링은 시간이 오래소요되는 디자인일 수록, 비용이 더 발생하기 때문에 확실한 자료가 준비되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평면도면이라 할 지라도 입체화에 필요한 정보가 다소 부족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프르프 담당자들이 면밀히 검토 후 친절히 안내드립니다. 정보를 보강하여 재접수해주시면 견적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도면에 필히 있어야하는 내용을 참고해주십시오.
3D모델링에 필요한 평면도면의 예_

- 정면, 윗면, 측면 등의 각 방향면 각도별 상세 치수가 필요합니다.
- 주요 변의 길이나 곡률값(R)까지도 상세하게 표기되어야 합니다.
- 결합 부위의 간격이나 공차 치수 등도 표기되면 더욱 좋습니다.
- 대칭 형태의 경우에는 세 가지 방향면만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비대칭 형태는 추가 방향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우측 하단의 기본정보표는 비어있어도 무방합니다.
참고용 조립 부품 도면의 예_

- 조립 모델의 경우에는 등각 투상(반측면) 뷰로 조립/분해 모습이 예시 도면과 같이 설명되어야 합니다.
- 기준이 되는 부품을 정하고 직각 이동한 모습으로 위치시켜 알아보기 쉽게 표시된다면 더욱 좋습니다.
- 파트끼리 맞닿는 결합부는 공차 적용이 필요합니다. – 공차는 소재별로 다르므로 소재별 3D모델링 가이드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