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소재들에 해당하는 가이드입니다.
-
PLA 플라스틱 – 글로시 & 텍스쳐
₩1 (부가세 포함) 옵션 선택 여러 변형이 이 상품에 있습니다. 상품 페이지에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PLA 플라스틱 – 매트
₩1 (부가세 포함) 옵션 선택 여러 변형이 이 상품에 있습니다. 상품 페이지에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소재 특성에 따른 3D모델링 가이드
참고 단위 (Unit)
- 가공에서 기본 치수단위는 mm 를 사용합니다.
- T : Thickness 의 약자로 두께를 나타냅니다. 규격은 mm 를 사용하기 때문에 3T는 3 mm 두께를 말합니다.
- I.D : Inside Diameter 의 약자로 내경 – 외곽이 모두 막힌 안쪽 홈이나 홀의 지름 크기를 말합니다. 외곽으로 나가는 부분이 있다면, 내경으로 보지 않습니다.
- O.D : Outside Diameter 의 약자로 외경 – 파이프 등의 외곽 지름 크기를 말합니다.
- R : Rounded 의 약자로 곡률값을 의미합니다. 규격은 mm 를 사용하기 때문에 3R 또는 R3는 3 mm 정원곡률이 반영된 것입니다.
개별 부품당 최대 가공크기 (Max build size per part)

W240 x D200 x H220 mm 이내 – 소형
W350 x D350 x H350 mm 이내 – 중형
명시된 범위 내에서 단일 파트(모델)를 한 번에 가공할 수 있습니다.
최소 벽 두께 (Wall thickness)

0.8 mm
최소 0.8 mm 정도의 두께를 확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하는 가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다만 최소 두께에서는 소재 특성을 온전히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 내열성, 내충격성, 인장성 등등
최소 크기 (Minimum Feature size)

3mm
최소 3 mm 이상의 크기를 확보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하는 가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얇은 기둥 최소 외경 (Pin diameter)

OD 3 mm
세로 기둥의 외경은 최소 3 mm 이상을 확보해주십시오. 또한 3 ~ 5 mm 이하 외경의 기둥은 형상구현은 가능하지만 정밀도와 적층면 품질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구멍 구현 최소 내경 (Minimum hole size)

ID 2.0 mm
내경이 2 mm 보다 좁으면 온전한 가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만약 내경 2 mm 홀이 필요하다면, + 0.2 mm 공차를 반영한 2.2 mm 내경 설계가 필요합니다.
결합/조립구 적용 공차 (Clearance gap for connecting parts)

평면(X/Y축) 공차 0.2 ~ 0.3 mm
직면(Z축) 공차 0.3 ~ 0.6 mm
암/수 결합구 치수 반영 시 수결합구 외경이 3 mm 라면, 수결합구 내경을 3.2 mm 크기부터 반영해야 합니다. 즉, 오프셋 + 0.2 mm 반영한 것으로서 여기에 수결합구 모서리에 모따기(Chamfer)를 약 0.2mm 정도 적용하면 꽉 맞도록 결합할 수 있습니다. 공차를 0.4 mm 정도 반영하면 수결합구에 모따기를 반영하지 않아도 수월하게 분리 가능합니다.
지지체 미적용 가능한 최소 각도 (Overhangs)

하단부로부터 최소 45도 각
적층성형 공법의 특성상,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단면층을 쌓아 올리기(적층) 때문에 하단부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요소들은(Overhang) 그 각도에 따라 가공품질에 영향을 받습니다. 지지체를 적용하여 공중에 떠 있는 요소를 가공할 수 있습니다만, 지지체 제거 시 표면이 지지체 미적용 표면보다 고르지 않습니다.(낮은 표면조도) 고르지 않은 품질이어도 불필요한 지지체를 적용하지 않고 구현가능한 최소 각도는 하단면으로부터 45도 각이며, 그 이상 각이 상승할 수록 표면은 고르게 됩니다.(높은 표면조도)
지지체 미적용 가능한 교각 길이 (Horizontal bridge)

10.0 mm
지지체를 적용하지 않고, 교각(Bridge)의 오버행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길이는 약 10 mm 정도로 그 이상 길어지면 적층면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외곽 곡모서리 (External fillet radius)

상단부 필렛 R 3.0 mm 이상 가능
하단부 필렛 R 5.0 mm 이하 권장
특히 하단부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는 필렛은 R값에 따라 오버행 요소가 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단부에 적용되는 필렛 R값은 3.0 mm 이상 적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표면이 고르지 못하게 됩니다. 상단부 필렛 R값은 관계 없습니다. 3.0 mm 보다 적으면 필렛이 무의미합니다.
구체의 경우, 구체 하단부는 적층면 품질이 낮아지기 때문에, 반구를 가공한 후 접합하여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양/음각 표현 (Embossed & Engraved details)

평면(X/Y축) 두께 0.8 mm
최소 깊이/높이(Z축) 1 mm 이상
양/음각을 적용할 때에는, 복잡한 형상 – 특히 셰리프 문자와 조밀한 문양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단에서 보았을 때의 획의 폭이 0.8 mm 보다 좁으면 구현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깊이(음각)와 높이(양각)는 최소 1 mm 이상을 권장합니다.
만약 표면연마 가공을 염두한 경우, 그 이상치수를 반영하여야 합니다. 특히 양각 치수는 5 mm 이하로 적용하면 표면연마 가공 시 대부분 사라질 것입니다.
조형판 최소 안착면 (Required adhesively first layer)

평면(X/Y축) 면적 3 mm
적층성형 공법의 특성상, 조형판에 안착되는 첫 번째 최소 면적이 필요합니다. 평면 크기로 약 3 mm 정도는 필요하겠습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공중에 떠 있는 면적들은 지지체를 적용하여 성형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체로 안착면이 확보되지만 구체형상이나 곡면으로만 구성된 모델의 경우 안착면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견적요청 시 접수된 모델파일을 검토하여 문제내용을 안내드립니다.
소재 색상표
!!)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실물사진이 없는 경우, 색상코드를 반영하였습니다.
!!) 대량생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재고관련 일정에 대해 문의 부탁드립니다.
스탠다드 화이트
순백색. 광택이 없어 형상을 검토하기에 가장 우수한 시인성의 소재입니다.
형상을 검토하거나 표면연마 가공을 위해 가장 많이 선택되는 색상입니다. 프르프 인더스트리의 PLA 매트 소재는 일반 PLA와 달리 연마가 쉽습니다.
스탠다드 블랙
그레이
실버
메탈릭 그레이
앤트러사이트 (무연탄)
밀리터리 베이지
브라운
옐로우
네온 옐로우
오렌지
네온 오렌지
헬파이어 레드
퍼플
에픽 퍼플
블루 스틸
네이비 블루
라이트 블루
터콰이즈
시그널 그린
에메랄드 그린
밀리터리 그린
클리어 (반투명)
바닐라 화이트
램프 쉐이드로 적합한 약간의 투광도와 따뜻한 색감의 아이보리
젯 블랙
립스틱 레드
오팔 그린
오렌지
로열 블루
라임 그린
골드
브론즈
실버
그래디언트 - 미스틱 그린
그래디언트 - 미스틱 브라운
갤럭시 블랙
갤럭시 실버
갤럭시 퍼플
갤럭시 그린
갤럭시 레드
마블 (대리석)
소재 테크니컬 데이타 (TDS)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항목 | 기준 (ISO) | 수치 | 설명 |
---|---|---|---|
굴곡 탄성률 (Flexural modulus) | ISO 178 | Matte – 2650 MPa Glosy – 3150 MPa | 굽힘에 대한 강도. 수치가 높을수록 단단함 |
인장 탄성률 (Tensile modulus) | ISO 527 | Matte – 2600 MPa Glosy – 2350 MPa | 인장하중 시 탄성변형 저항 |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 ISO 527 | Matte – 47 MPa Glossy – 55 MPa | 재료가 끊어지기 직전의 최대 하중 |
인장 시 연신율 (Elongation at strength) | ISO 527 | Matte – 4 % Glossy – 3.1% | 인장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늘어난 비율 |
파단 시 응력 (Stress at break) | ISO 527 | 23 MPa | 파단 시점의 하중 |
공칭 파단 연신율 (Nominal elongation at break) | ISO 527-2 | 19 % | 파단될 때까지 늘어난 전체 비율 |
충격 특성 (Impact Properties)
항목 | 기준 (ISO) | 수치 | 설명 |
---|---|---|---|
노치 충격 강도 (Notched impact strength) | ISO 179/1eA | Matte – 7 kJ/m² Glossy – 13 kJ/m² | 노치(홈)를 만든 상태에서의 충격 저항 |
비노치 충격 강도 (Unnotched impact strength) | ISO 179/1eU | No break | 깨지지 않음 → 매우 우수한 충격 내성 |
열적 특성 (Thermal Properties)
항목 | 기준 (ISO) | 수치 | 설명 |
---|---|---|---|
VICAT A 연화점 (VST) | ISO 306 | 60 °C* | 일정 하중에서 변형되는 온도 (주의: 낮음) |
용융 온도 (Melting temperature) | ISO 3146-C | 180–200 °C | 가열 시 녹기 시작하는 범위 |
열적 특성 (Thermal Properties)
항목 | 기준 (ISO) | 수치 | 설명 |
---|---|---|---|
MFR (용융유동률) | ISO 1133 | Matte- 5 g/10min Glossy- 9~11 g/10min | 유동성. 3D프린팅이나 사출성형 가공성 판단 기준 |
수축률 (Shrinking) | ISO 294-4 | 0.3 % | 냉각 후 수축 정도. 치수 정밀도 판단 |
밀도 (Density) | ISO 1183 | Matte – 1.3 g/cm³ Glossy – 1.24 g/cm³ | 재료의 무게 밀도 |